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신청방법 및 지원내용 총정리

by 베스트프렌즈 2025. 4. 24.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신청방법 및 지원내용 총정리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신청방법

1.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란?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습 기회 확대와 학력 격차 완화를 목적으로 매년 교육활동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초등학생은 연 40만 원, 중학생은 연 50만 원, 고등학생은 연 60만 원의 포인트(적립금)를 NH농협카드 채움 포인트로 지급하며, 해당 포인트는 학습 도서 구입, 예체능 교육, 자격증 취득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가구에 속한 다문화가족 자녀(7세~18세)이며, 교육급여 수급자(중위소득 50% 이하)는 중복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2.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

  • 지원 대상: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의 다문화가족 자녀 (만 7세 이상 ~ 18세 이하)
  • 소득 기준: 건강보험료 납부 기준으로 중위소득 100% 이하
  • 제외 대상: 교육급여 수급자(중위소득 50% 이하)는 중복 지원 불가
  • 지원 횟수: 자녀 1인당 연 1회 지원
  • 지원 연령: 초등학교 입학 전 7세부터 고등학교 졸업 연령 18세까지 가능

3. 지원금액 및 사용처

👆 좌우로 밀어서 표를 확인하세요
구분 지급금액 지급방식 사용처
초등학생 연 40만원 NH농협카드 채움 포인트 교재 구입, 독서실 이용, 체험활동, 예체능 학원비, 자격증 시험비 등
중학생 연 50만원 NH농협카드 채움 포인트 도서 구입, 학원비, 진로체험비, 자격증 과정 재료비 등
고등학생 연 60만원 NH농협카드 채움 포인트 진로 탐색 활동, 직업교육 실습비, 온라인 강의 수강료 등

※ 유의사항: 포인트는 신청 시기에 따라 6월(1차) 또는 8월(2차)에 일괄 지급되며, 반드시 11월 말까지 사용해야 하며, 이후 잔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4.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기간:
    • 1차 신청: 2025년 5월 2일(목) ~ 5월 30일(금)
    • 2차 신청: 2025년 7월 1일(화) ~ 7월 31일(목)
  • 신청장소: 자녀 주민등록지 관할 가족센터 또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신청방식: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 불가)
  • 제출서류:
    • 교육활동비 지원 신청서
    •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2025년 기준)
    • 신분증(보호자)
  • 지급시기:
    • 1차 신청자: 2025년 6월 중 지급
    • 2차 신청자: 2025년 8월 중 지급
  • 지급방식: 신청인 명의 NH농협카드 채움 포인트로 지급

5.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교육활동비 지원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NH농협카드 채움 포인트로 지급되며, 교재 구입, 독서실 이용, 학원비, 체험활동비, 자격증 관련 비용 등 교육 관련 항목에 사용 가능합니다.
  • Q2. 지원금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현금이 아닌 농협카드 포인트 형식으로 지급되며, 지정된 항목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 Q3. 온라인 신청은 불가능한가요?
    네, 본 사업은 온라인 신청이 불가하며, 반드시 거주지 가족센터 또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방문해 신청하셔야 합니다.
  • Q4. 건강보험료 기준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로, 제출한 2025년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통해 확인합니다.
  • Q5. 교육급여를 이미 받고 있는데,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
    아니요. 교육급여 수급자(기준중위소득 50% 이하)는 본 교육활동비 지원과 중복하여 받을 수 없습니다.
  • Q6. 자녀가 중도 전학을 가거나 이사하면 어떻게 되나요?
    기존 주소지 기준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포인트는 이동 후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단, 신청 시 주소 기준이 적용됩니다.

6. 관련 링크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관련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7. 확장 정보: 다문화가정 학습격차 통계

👆 좌우로 밀어서 표를 확인하세요
구분 다문화가정 자녀 전체 평균 격차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2021) 40.5% 71.5% 31.0%p
미성년 다문화 자녀 수 308,402명 (2023) - ↑ 70,896명 (5년간)
초등학생 학습결손률 (추정) 약 15% 5~7% 2배 이상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으로 교육활동비 지원이 도입되었습니다.

#다문화가족 #교육지원 #다문화자녀 #입학축하금 #교육활동비신청 #NH포인트 #여성가족부정책 #보조금24 #정부지원사업 #2025다문화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