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60세 이후 받을 수 있는 국가 지원금 총정리 👴👵

by best79s2 2025. 3. 28.
60세 이후 받을 수 있는 국가 지원금 총정리

60세 이후 은퇴를 앞두고 계시거나 이미 퇴직하신 분들께는 다양한 국가 복지제도와 지원금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서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몰라 혜택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만 60세 이상 국민이 받을 수 있는 주요 국가 지원금 10가지를 정리하고, 신청 조건, 방법, 신청 사이트 링크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1. 기초연금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일정 소득 이하일 경우 매월 최대 40만 4,000원(2025년 기준)의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지원대상: 만 65세 이상, 소득인정액 기준 하위 70%
  • 지원금액: 최대 404,000원/월 (2025년 단독가구 기준)
  • 신청방법: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 1인 가구 소득인정액이 약 214만 원 이하라면 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노령국민 건강보험료 지원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이 적은 분들에겐 건강보험료가 감면됩니다.

  • 지원대상: 지역가입자 중 노령자, 저소득 가구
  • 지원내용: 건강보험료 일부 또는 전액 감면 (지자체별 상이)
  • 신청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1577-1000
  • 링크: 국민건강보험공단

3.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은 요양보호사 방문, 복지용구, 시설 입소 등을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만 65세 이상 또는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 서비스: 재가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센터, 요양원 입소
  • 신청: 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링크: 장기요양보험 포털

4.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저소득층 노인의 경우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를 통해 매월 현금성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대상: 중위소득 30~50% 이하, 재산·소득 요건 충족
  • 지원내용: 생계비 월 최대 78만 원 내외 (1인 기준)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사이트

5. 주거급여

고령 1인가구 또는 노인 가구가 전세·월세 주택에 거주 중인 경우 임차료 보조금이 제공됩니다.

  • 대상: 소득인정액 중위 47% 이하 노인가구
  • 내용: 임대료, 관리비 지원 (최대 월 30만 원 이상)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6. 에너지 바우처 / 전기요금 할인

저소득층 노인을 위해 여름·겨울철 에너지 사용을 보조하는 에너지 바우처가 제공됩니다.

  • 대상: 만 65세 이상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지원내용: 전기·도시가스·연탄 등 에너지 요금 바우처 지급
  • 신청: 주민센터 또는 에너지바우처 홈페이지

또한, 한국전력의 복지할인 제도를 통해 전기요금 할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

  • 할인 대상: 기초연금 수급자, 장기요양등급자 등
  • 할인율: 월 최대 16,000원까지
  • 신청 방법: 한전 지사 또는 123콜센터
  • 신청 사이트: 한국전력공사

7. 교통비·대중교통 무료 혜택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지하철·버스 무료 이용 또는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 대상: 만 65세 이상 서울시민 (전국 대부분 동일)
  • 혜택: 수도권 지하철 무료, 일부 지자체는 버스·택시도 포함
  • 방법: 주민센터 방문 → 고령자용 교통카드 발급
  • 추가 확인: 교통복지카드 안내 사이트

8. 고령자 일자리 지원사업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을 통해 60세 이상 어르신도 일하며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대상: 만 60세 이상 건강한 고령자
  • 내용: 공공근로, 지역봉사, 노노케어, 스쿨존 안전지킴이 등
  • 활동비: 월 30만 원 내외 (근무 시간에 따라 상이)
  • 신청: 한국노인인력개발원

9. 치매 조기검진 및 돌봄서비스

만 60세 이상은 전국 보건소 또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 선별검사 및 돌봄서비스를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만 60세 이상 전 국민
  • 서비스: 치매 선별검사, 인지훈련, 가족상담, 쉼터 운영 등
  • 신청처: 중앙치매센터, 보건소

10. 보건소 무료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

보건소에서는 노인을 위한 건강검진, 예방접종,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 대상: 만 60세 이상 (특히 독감, 폐렴 예방접종은 65세 이상 무료)
  • 내용: 고혈압, 당뇨 등 정기검진 + 예방접종
  • 신청처: 거주지 보건소 또는 질병관리청

💡 마무리 요약

제도명 대상 지원 내용 신청처
기초연금 65세 이상 저소득층 월 최대 40만 4천 원 복지로
건강보험료 지원 65세 이상, 지역가입자 보험료 감면 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65세 이상 또는 노인성 질환자 요양서비스 제공 장기요양포털
에너지바우처 기초수급·65세 이상 에너지요금 지원 바우처포털
교통 무료 65세 이상 지하철 무료, 교통비 지원 주민센터
📌 위 지원금은 중복 수령이 가능하며, 직접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센터·복지로·건강보험공단 등에서 꼭 확인해보세요.

※ 본 글은 2025년 3월 기준 복지부, 보건복지정보포털,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지역별 신청 조건 및 금액은 예산과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복지로 및 해당 기관에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