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증여세 공제항목 및 신고 시 유의사항 총정리
증여세는 단순한 세율만 이해해서는 부족합니다. 공제 항목, 신고 절차, 유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챙겨야 실질적인 절세가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여세 신고 시 반드시 참고해야 할 공제 항목과 실전 팁을 모두 정리했습니다.
목차
1. 증여세 공제항목 정리
증여세를 계산할 때는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공제 받을 수 있는 한도가 다릅니다. 아래 표는 증여자와의 관계에 따른 10년간 누적 공제한도를 나타냅니다.
좌우로 밀어서 표를 확인하세요
증여자와의 관계 | 증여재산공제 한도액 (10년 누적) |
---|---|
배우자 | 6억 원 |
직계존속 (계부·계모 포함) | 5천만 원 (미성년자는 2천만 원) |
직계비속 | 5천만 원 |
기타 친족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 1천만 원 |
그 외의 자 | 0원 |
※ 공제 한도는 증여일로부터 이전 10년 내 받은 증여까지 포함하여 계산됩니다.
2. 증여세 계산 흐름도
2025년 기준, 기본세율 적용 시 증여세는 다음 순서로 계산합니다.
- ① 증여재산가액 - 비과세·불산입액 - 채무액 + 증여가산액 = 증여세 과세가액
- ② 과세가액 - 증여재산공제·재해손실공제 = 과세표준
- ③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 ④ 산출세액 + 세대생략 할증 - 세액공제·가산세 등 = 최종 납부할 세액
세율: 10% ~ 50% 초과누진세율
3. 혼인·출산 증여재산 공제
202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혼인 또는 출산 후 2년 이내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 받은 경우, 1인당 최대 1억 원을 추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좌우로 밀어서 표를 확인하세요
상황 | 공제 적용 가능 기간 |
---|---|
2023.4.1. 혼인신고 | 2024.1.1. ~ 2025.4.1. |
2025.6.1. 혼인 예정 | 2024.1.1. ~ 2027.6.1. |
2023.4.1. 자녀 출산 | 2024.4.1. ~ 2025.4.1. |
2024.6.1. 자녀 출산 | 2024.6.1. ~ 2026.6.1. |
※ 기존 직계존속 공제와 중복 공제 가능!
4. 창업·가업승계에 대한 특례
- ✅ 창업자금은 5억 원 공제 + 10% 단일세율 (50억 한도)
- ✅ 10명 이상 신규 고용 시 최대 100억까지 적용
- ✅ 가업승계는 경영연수에 따라 최대 600억까지 과세가액 특례
- ✅ 세율은 120억까지 10%, 초과분은 20%
- ❗ 창업자금과 가업승계는 중복 적용 불가
5. 증여세 가산세 및 미납 이자
- 📌 신고불성실 가산세: 무신고 20%, 부정행위 40%
- 📌 납부지연 가산세: 납부기한 이후 미납금에 대해 0.022%×일수
- 📌 신고세액공제: 기한 내 신고 시 3% 세액공제
6. 홈택스 조회 방법 및 팁
증여세 신고 전, 최근 10년간 받은 증여 내역을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① 홈택스 접속
- ② [조회/발급] → [세금신고납부] → [증여세 결정정보 조회]
- ③ 본인 명의 공인인증서 로그인 필요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배우자에게 증여하면 무조건 6억 원 공제되나요?
👉 네, 단 사실혼은 해당되지 않으며 혼인신고가 필요합니다. - Q. 혼인·출산 공제는 기존 증여공제와 중복 적용되나요?
👉 네, 혼인·출산 사유가 명확하면 별도 1억 원까지 추가 공제 가능합니다. - Q. 홈택스 증여 내역 조회는 어디서 하나요?
👉 홈택스 > 조회/발급 > 세금신고납부 > 증여세 결정정보 조회 - Q. 증여세를 안 내면 어떻게 되나요?
👉 가산세 20~40% 부과 + 납부 지연 이자 발생하므로 신고기한 내 반드시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반응형